항일독립운동단체 총정리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가장 치열했던 장면 중 하나는 항일독립운동 단체들의 탄생과 활동입니다. 의병 전쟁에서 시작해 임시정부, 만주 독립군, 미주 한인 사회, 그리고 해방 이후 정당과 단체로 이어지는 역사는 오늘날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자산입니다.
하지만 단체 수가 방대하고 지역과 시기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전체 계보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 글은 제가 제작한 〈한국 근현대사 항일독립운동 단체 흐름 정리〉 판매 자료(V2.0)에 수록된 전 단체를 토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단순히 일부만 발췌한 것이 아니라, 1900년대부터 1945년 해방 직후까지 국내·만주·연해주·상하이·미주·중국 관내를 아우르는 모든 항일독립운동 단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배열했습니다.
1900년대 의병과 계몽운동 단체(을사의병, 정미의병, 13도창의군, 보안회, 신민회 등)부터, 1910년대 임시정부와 대한광복회, 1920년대 만주의 3부(신민부·정의부·참의부)와 의열단, 1930년대 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 그리고 1940년대 충칭 임시정부와 옌안의 사회주의 계열,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한국민주당·조선공산당 등까지 망라했습니다.
블로그에서는 텍스트로 전체 단체 흐름을 살펴볼 수 있으며, 실제 판매 자료에서는 이 내용을 시각화된 도표와 연표로 정리해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일독립운동사를 공부하는 학생, 그리고 한국 근현대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자료입니다.
* 현재 자료는 판매를 위한 마지막 작업을 진행 중 입니다.
1900년대
국내 무장투쟁
-
을사의병(1905) : 평민의병장 신돌석 등장, 최익현 순국
-
정미의병(1905)
-
13도창의군(1907)
국내 계몽운동
-
보안회(1904)
-
헌정연구회(1905)
-
대한자강회(1906)
-
대한협회(1907)
-
신민회(1907)
미주 (하와이, 샌프란시스코)
-
공립협회(1905)
대동보국회(1905)
-
한인합성협회(1907)
-
국민회(1909)
북간도
-
서전서숙(1906)
-
명동학교(1908)
1910년대
국내 무장투쟁
-
독립의군부(1912)
-
대한광복회(1915)
미주
-
대한인국민회(1909)
-
흥사단(1913)
-
대조선국민군단(1914)
상하이
-
동제사(1912)
-
신한혁명당(1915)
-
신한청년당(1918)
북간도
-
중광단(1911)
-
간민회(1913)
-
간도국민회(1914)
서간도
-
신한민촌(1911)
-
경학사(1911)
-
부민단(1913)
-
신흥강습소(1911)
만주
-
의병단체
-
대한청년단연합회(1919)
-
대한독립단(1919)
-
연해주
-
성명회(1910)
-
13도의군(1910)
-
권업회(1913)
-
대한광복군정부(1914)
-
한족중앙총회(1917)
-
고려족중앙총회(1917)
-
전로한족중앙총회(1919)
-
한인사회당(1918)
1920년대- 3.1운동 이후
상하이
- 대한민국임시정부(1919)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1924)
한국독립유일당 북경촉성회(1926)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1924)
한국독립유일당 북경촉성회(1926)
연해주
-
이르쿠츠크공산당 한인지부(1920)
-
전로한인고려공산당 중앙총회(1920) →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1921)
-
상해파 고려공산당(1921)
북간도
-
간도국민회(1914)
-
의병단체
-
대한독립군(1919)
-
대한국민회군(1920)
-
대한북로독군부(1920)
-
-
대한정의단(1913)
-
북로군정서(1913)
-
대한독립군단(1920)
-
3부 - 신민부(1925)
서간도
-
서로군정부(1919)
-
서로군정서(1919)
-
한족회(1919)
-
신흥무관학교(1919)
-
대한통군부(1919)
-
대한통의부(1922)
-
의군부(1922)
-
3부 (정의부)
만주
-
광복군총영(1920)
-
보합단(1920)
-
광복군사령부(1920)
-
3부-참의부(1924)
중국 관내
-
의열단(1919)
미주
-
구미위원부(1913)
-
대한인동지회(1921)
국내
사회주의 소규모 단체(상해파, 서울파, 화요파, 북풍회파)
-
조선공산당(1925)
-
정우회(1926)
-
신간회(1927)
-
근우회(1927)
-
수양동우회(1926)
1930년대
만주
-
3부 통합운동 - 국민부(1929) 계열
-
조선혁명당(1929), 조선혁명군(1929)
조선혁명군정부(1934) → 와해 후 일부가 동북항일연군 한인부대 합류
-
-
3부 통합운동 - 혁신의회(1928) 계열
-
한족총연합회(1929)
[재만] 한국독립당(1930), 한국독립군(1934)
중국 관내
-
의열단 : 황포군관학교 참여(1926) → 조선혁명간부학교(1932) 설치
-
대일전선통일동맹(1932) → 민족혁명당(1935)
-
의열단
-
한국혁명당(1932)
-
[재만] 한국독립당(1933) - 만주에서 관내로 이동
-
조선혁명당(1931) - 만주에서 관내로 이동
-
신한독립당(1929)
-
- 민족혁명당 → 조선민족혁명당(1935)
-
조선민족전선연맹(1937)
-
조선민족혁명당 참여
-
조선혁명자연맹(1937) 참여
-
조선민족해방동맹(1936) 참여
-
조선청년전위동맹(1936) 참여
-
조선의용대(1938) 조직
-
임시정부 내
- 한국독립당(1930) → 민족혁명당 창당 참여 / 반대파는 한국국민당 창당
-
한인애국단(1931)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7)
-
한국국민당(1935) 참여
-
[재건] 한국독립당(1935)
-
[재건] 조선혁명당(1937)
-
-
전국연합진선협회(1939)
-
한국국민당 참여
-
[재건] 한국독립당 참여
-
[재건] 조선혁명당 참여
-
조선민족혁명당 참여
-
조선혁명자연맹 참여
-
조선민족해방동맹 참여
1940년대
충칭(임시정부, 민족주의 계열)
-
3당 합당
-
한국독립당(1940), 한국독립군
-
-
조선민족혁명당 임정합류(1942) - 조선의용대 본부 소수 인원
조선민족해방동맹 임정합류(1941)
조선혁명자연맹 임정합류(1942)
옌안(사회주의 계열)
조선의용대 화북지대(1941)→ 조선의용군(1942)→ 옌안 이동(1943)→ 빨치산부대 8로군 편
화북조선청년연합회 → 조선독립동맹(1942)
만주 · 연해주
-
동북항일연군 한인부대 → 소련군 88연대 편입
해방 이후 (1945.8.15~)
경성
-
여운형 (중도좌파)
-
건국동맹(1944.8) → 건국준비위원회(1945.8.15) → 조선인민공화국(1945.9)
-
-
이승만
-
독립촉성중앙협의회(1945.11) → 대한독립촉성국민회(1946.2)
-
-
임시정부 / 김구, 김규식, 이시형 등
-
임시정부 요인, 한국독립당 - 개인자격 귀국(1945.11~)
-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1945.12)
-
-
자본가 세력 (김성수, 송진우)
-
한국민주당(1945)
-
-
좌우 합작 운동(여운형, 김규식)
-
좌우합작위원회(1946)
-
-
사회주의 계열
-
조선공산당 재건(1945.8), 조선인민당(1945.11), 남조선신민당(1946.2) → 남조선노동당(1946.11)
-
민주주의민족전선(1946.2)
-
평양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1945.10), 조선신민당(1946.2) → 북조선노동당(19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