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을사의병 키워드 정리 : 최익현의 거병과 평민 의병장 신돌석 등장

 

을사의병 키워드 정리

을사의병 최익현과 신돌석

을사의병(乙巳義兵)

배경

  • 을사늑약(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 국권 피탈 위기

  • 민족적 저항: 을사오적(이완용·박제순·이근택·이지용·권중현)에 대한 분노

  • 유학자·유생 주도: 자발적 항거 시작

  • 별칭: 1906년 활발 → 병오의병(丙午義兵)이라고도 함

전개

  • 전국적 봉기 확산 (1905년 말 ~ 1906년)

  • 대표적 의병장

    • 민종식·안병찬: 홍주의병, 홍주성 점령(1906) → 을사의병 최대 전과

    • 최익현: 전북 태인 무성서원에서 거병, 일본에 압송 → 쓰시마 섬에서 단식 순국

    • 신돌석: 평민 출신, 유격전술·규율 엄격, 동해안 일대 활약 → ‘평민 의병장’

    • 정환직·정용기 부자: 산남의진, 영남 최대 규모 의진, 꾸준히 항일전 전개

  • 성격: 자발적 봉기, 외세(일본) + 을사오적 처단 목표

치즈의 포인트 🧀

  • 포인트1 → 을사늑약 직후 봉기
  • 포인트2 → 최익현(유생, 쓰시마 섬에서 단식 순국), 신돌석(평민 의병장 등장)
  • 포인트3 → 정미의병(1907)으로 계승
  • 을사의병은 한국 근대사 무장 독립운동의 실질적인 출발점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특징

  • 주도 세력: 유생·유학자 중심, 점차 평민 참여 확대

  • 목표:

    • 을사늑약 철폐

    • 친일파 처단

    • 국권 회복

  • 한계: 일본군에 비해 압도적인 전력차, 산발적 거병, 일본군·진위대의 진압

의의

  • 항일 무장투쟁 본격화: 을미의병 이후 전국적 재봉기

  • 계층 확대: 신돌석 등 평민 의병장 등장 → 의병 운동의 사회적 기반 확장

  • 계승: 1907년 정미의병, 1908~09년 13도창의군으로 발전

키워드

  • 을사늑약(1905), 을사오적

  • 병오의병(1906)

  • 민종식(홍주의병), 최익현(단식 순국), 신돌석(평민 의병장), 산남의진(정환직·정용기)

  • 유생 중심 + 평민 참여 확대

  • 항일 의병 운동 본격화, 항일 무장투쟁 시초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