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사 해방 이후 주요 연표 - 1950년대

한국근현대사 해방 이후 연표-1950년대

1950년 – (슬로건 자리)

1950년 4월 10일
농지개혁 실시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1950년 6월 27일
유엔 참전 결의
1950년 6월 28일
북한군 서울 함락
1950년 7월 1일
미 24사단 한국 도착 · 전투 참여
1950년 7월 7일
유엔군사령부 설치
1950년 7월 20일
북한군 대전 함락
1950년 7월 26~29일
노근리 양민학살 사건
1950년 8~9월
낙동강 방어선 전투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1950년 9월 15일~
제1차 화폐개혁
1950년 9월 20~28일
국군·유엔군 서울 수복
1950년 10월 1일
국군 38선 넘어 북진
1950년 10월 4일~
군·경 합동 지리산 빨치산 토벌 개시
1950년 10월 19일
중공군 참전
1950년 10월 25일
중공군의 첫 공세
1950년 11월 27일
미 10군단 장진호 전투 퇴패 → 흥남 철수

1951년 – (슬로건 자리)

1951년 1월 4일
1·4 후퇴(북한의 서울 재함락) → 빨치산 대공세
1951년 2월
거창 양민학살 사건
1951년 3월 14일
국군·유엔군 서울 재수복
1951년 3월
학제 개편(6-3-3-4년제)
1951년 7월
휴전회담 개시
1951년 12월
백선엽, 1차 지리산 빨치산 토벌 작전
1951년 12월
자유당 창당

1952년 – (슬로건 자리)

1952년 2월
이승만 라인 설정
1952년 5월
부산 정치 파동
1952년 6월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한국근현대사 해방 이후 연표_샘플이미지

1953년 – (슬로건 자리)

1953년 1월
부산 국제시장 화재
1953년 2월
제2차 통화개혁
1953년 5월
이범석(족청계) 숙청
1953년 6월
반공포로 석방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조인
1953년 8월 15일
정부, 부산 임시수도에서 서울로 복귀
1953년 9월 21일
국회, 서울 의사당 복귀
1953년 10월
한미상호방위조약 조인

1954년 – (슬로건 자리)

1954년 1월~
정비석 소설 「자유부인」 대유행
1954년 3월~
한글 간소화 파동
1954년 11월
사사오입 개헌 파동
1954년 12월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5년 – (슬로건 자리)

1955년 5월
국회 불온문서 투입 사건
1955년 6월
박인수 사건
1955년 8월
국제통화기금(IMF) 및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가입
1955년 9월
대구 매일신문 피습 사건

1956년 – (슬로건 자리)

1956년 1월
김창룡 암살 사건
1956년 5월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서거
1956년 5월
국내 첫 TV 방송국 개국
1956년 9월
장면 부통령 저격 사건(9·28 사건)
1956년 12월
지리산 빨치산 토벌 종료

1957년 – (슬로건 자리)

1957년 5월
제1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1957년 8월
가짜 이강석 사건
1957년 7월
유엔군사령부 서울 이전
1957년 10월
우리말 큰사전 완간

1958년 – (슬로건 자리)

1958년 1월
진보당 사건
1958년 8월
함석헌 『사상계』 필화 사건
1958년 12월
보안법 파동

1959년 – (슬로건 자리)

1959년 2월
재일교포 북송 반대 시위
1959년 4월
경향신문 폐간
1959년 6월
하와이 근성 필화 사건
1959년 7월
조봉암 사형
1959년 9월
태풍 사라호 수해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