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사 일제강점기 주요연표 - 1910년대

1910년 – 경술년

1910년 2월
대한인국민회 조직
1910년 6월
한일약정각서(경찰권 박탈)
1910년 8월 22일
경술국치(한일병합조약)
1910년 8월
성명회 조직
1910년 8월
회사령 제정
1910년 9월
헌병경찰제 실시
1910년 9월
임시토지조사국 설치
1910년 11월
안악사건(데라우치 암살 모의 조작)

1911년 – (슬로건 자리)

1911년 1월
105인 사건
1911년 3월
중광단 조직
1911년 4월
경학사 조직
1911년 6월
사찰령·산림령·어업령 제정
1911년 8월
1차 조선교육령 발표
1911년 10월
청 – 우창봉기(신해혁명)

1912년 – (슬로건 자리)

1912년 1월
중화민국 수립
1912년 3월
조선태형령 제정
1912년 5월
임야조사령 제정
1912년 5월
권업회 조직
1912년 7월
동제사 조직
1912년 8월
토지조사사업 실시(~1918년)
1912년 11월
독립의군부 조직
한국근현대사 일제강점기 연표_샘플이미지

1913년 – (슬로건 자리)

1913년 4월
간민회 조직
1913년 5월
흥사단 조직
1913년 9월
독립의군부 국권반환요구서 배포
1913년 9월
대한광복단 결성

1914년 – (슬로건 자리)

1914년 1월
호남선 개통
1914년 3월
대한광복군정부 설립
1914년 6월
대조선국민군단 창설
1914년 6월 18일
유럽 사라예보 사건 →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914년 12월
의병 채응언에 현상금

1915년 – (슬로건 자리)

1915년 1월
조선국권회복단 조직
1915년 3월
신한혁명당 결성
1915년 5월
하와이 박용만파·이승만파 분열
1915년 6월
박은식 <한국통사> 간행
1915년 7월
채응언 체포
1915년 7월
대한광복회 조직
1915년 9월
조선물산공진회 개최
1915년 10월
사립학교 규칙 발표
1915년 11월
조선학회 조직
1915년 12월
광업령 제정

1916년 – (슬로건 자리)

1916년 5월
임병찬 유배지에서 자결
1916년 6월
총독부 신청사 착공(~1926년)
1916년 9월
대종교 나철 자결
1916년 12월
일본군 용산 상주

1917년 – (슬로건 자리)

1917년 3월
러시아 2월 혁명
1917년 3월
이상설 서거
1917년 6월
순종 도일(일본 방문)
1917년 7월
대동단결선언 발표
1917년 7월
수리조합령 제정
1917년 7월
일본, 간도 지방 경찰권 획득
1917년 10월
박용만, 약소민족회의 참석
1917년 11월
러시아 10월 혁명
1917년 12월
박상진 체포

1918년 – (슬로건 자리)

1918년 1월
윌슨 14개조 평화 원칙 발표
1918년 2월
서당 규칙 시행
1918년 5월
한인사회당 조직
1918년 6월
전로한족중앙총회 조직
1918년 8월
신한청년당 조직
1918년 8월
일본, 시베리아 출병
1918년 10월
토지조사사업 종료
1918년 11월
제1차 세계대전 종료
1918년 12월
영친왕·이방자 결혼 발표

1919년 – 기미년, 일제강점 10년째

1919년 1월
고종 서거
1919년 2월 1일
무오독립선언 발표
1919년 2월 8일
2·8 독립선언(도쿄)
1919년 3월 1일~
3·1 운동 전개
1919년 3월 17일
대한국민의회 설립(연해주)
1919년 3월
위임통치 청원서 사건
1919년 4월 11일
상하이 임시정부 출범(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 사건
1919년 4월 23일
한성정부 수립(국내 임시정부)
1919년 5월
신흥무관학교 개편
1919년 9월
임시정부 통합(상하이 중심으로 통합 정리)
1919년 9월
강우규 의거(사이토 총독에게 폭탄 투척)
1919년 9월
의열단 결성(만주 길림)
1919년 11월
여운형, 초청으로 일본 방문
1919년 11월
서로군정서 개편
다음 이전